reviews2
sMASUN 시스템이란?

sMASUN 시스템은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사용자의 요구도를 수집합니다. 또한,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해주는 시스템 입니다.

설명 더 보기

sMASUN이란 단순화된 사용자 요구도 기반 앱 선별 선택 방법으로 Simplified Method of App Selection based on User’s Needs의 약자이며, 기존에 개발된 MASUN(Method of App Selection based on User’s Needs)가 단순화되어 개발된 방법론으로써 체크리스트를 통한 사용자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sMASUN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맞는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해주는 시스템 입니다.


MASUN의 이란?

MASUN은 사용자의 요구도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파악하고 파악된 각 기능에 대해서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여부를 확인, 검증하는 방법으로 이 조직화된 정보를 통해 sMASUN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설명 더 보기

MASUN은 앱 선별과정에서 사용자의 요구도를 충분히 반영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1]. 다방면의 사용자(전문가가 개발한 페르소나로 대표되는 가상의 사용자, 앱 스토어에 리뷰를 남긴 실제 사용자, 해당 증상이 있는 잠재적 사용자)의 요구도뿐 아니라, mHealth 앱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의학적, 기술적 측면 또한 고려하기 위하여 타겟 증상관련 의료전문가와 타겟 증상의 관리를 위하여 앱을 개발해본 경험이 있는 앱 전문가를 포함하였습니다. 즉, MASUN을 통하여 선정된 최적의 앱은 다방면의 사용자의 요구도와 의료전문가 및 앱 전문가의 검토를 모두 반영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2].


MASUN의 배경

수 많은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의 요구도를 파악하고 가장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하여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강관리를 하는 것에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설명 더 보기

2018년 AppBrain의 보고에 따르면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어플의 앱스토어는 각각 약 361만개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앱)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각 약 10만개의 앱이 모바일 건강관리(Mobile health, mHealth) 앱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3]. 그러나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리뷰와 높은 점수를 평가받은 인기있는 mHealth 앱이라 할지라도 FDA와 같은 공인 기관을 통한 품질 보증 또는 인증을 받은 앱은 많지 않으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에 부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4]. 따라서, 의료 서비스 제공자는 의료 소비자가 건강관리를 위하여 mHealth앱을 사용하려고 할 때, 어떠한 앱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조언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5]. 하지만, 의료 서비스 제공자 조차도 각기 다른 요구도를 가진 사용자에게 적합한 앱이 무엇인지에 대한 확신을 가지기는 쉽지 않기에, 사용자 요구도 기반 모바일 앱 선별 방법 (Method of Application Selection based on User Needs, MASUN)을 활용하여 각 사용자의 요구도에 따른 앱 선별 시스템을 구현하였습니다[1]. 또한, 사용자의 증상의 경우 일반적으로 많은 여성들이 경험하며, MASUN이 타 연구에서 활용된 바 있는 월경불편감(월경통과 월경전 증후군)을 본 연구에서도 선택하였습니다. 따라서, 월경 건강관리 모바일 앱에 대하여 사용자의 요구도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월경 건강관리 모바일 앱 선별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2].


sMASUN algorithms

sMASUN 시스템은 MASUN 앱 선별 과정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앱을 도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설명 더 보기

Step 1.
DB에서 체크리스트의 각 항목마다 사용자가 선택한 점수와 정확히 일치하는 앱을 도출하고 항목별로 도출된 앱 중에서 중복되는 앱을 선정하여 리스트를 만듭니다.

Step 2.
각 항목마다 사용자가 선택한 점수와 ±1의 범위의 앱을 도출하고 항목별로 도출된 앱 중 중복되는 앱을 선정하여 리스트를 만듭니다. 이 리스트에서는 우선순위가 존재하며, 각 항목 별로 앱에 할당된 점수의 총 합이 높은 순위부터 나열합니다.

Step 3.
사용자가 선택한 각 항목별 점수의 총 합에서 ±5의 범위에 해당하는 앱의 리스트를 생성합니다.

Step 4.
총 3 개의 리스트가 생성된 후의 하나의 리스트로 병합할 때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가 입력한 항목별 요구사항에 대한 점수 리스트와 정확히 일치하는 앱의 리스트를 가장 우선 순위로 하며, 두 번째로 각 항목별 점수에서 ±1의 범위가 적용된 리스트, 세 번째로 각 항목별 점수의 총 합에서 ±5의 범위가 적용된 리스트로 우선순위를 배열합니다.

Step 5.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3개의 리스트를 병합하였다면, 이 리스트 중에서 상위 10개의 앱을 제외한 하위의 앱은 리스트에서 삭제합니다.

Step 6.
이러한 알고리즘을 거쳐 도출된 상위 10개의 리스트는 배열로 생성되어 웹 서비스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됩니다.

또한, 이 배열의 정보를 통해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각 앱의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에게 보여줄 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정보를 기존에 생성된 배열의 정보와 조직화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리스트를 생성하여
보여지게 됩니다.

MASUN Process
MASUN Process
English ver.2019

MASUN Process

English ver.2019

MASUN Process
Korean ver.2019

MASUN Process

Korean ver.2019

Related Funding
Sourses

Related Funding Sourses

MASUN Related Journal papers
img

Can menstrual health apps selected based on users’ needs change health-related factor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Lee, J., & Kim, J. (2019). Can menstrual health apps selected based on users’ needs change health-related factor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26(7), 655-666.

img

Method of App Selection for Healthcare Providers Based on Consumer Needs

Lee, J., & Kim, J. (2018). Method of app selection for healthcare providers based on consumer needs. CIN: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36(1), 45-54.

img

Design of Pressure Injury Management Mobile Application Structure and User Interface

Lee, J., Kim, J., Lee, Y. J., & Park, S. (2019). Design of Pressure Injury Management Mobile Application Structure and User Interfac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6(3), 223-231.

MASUN Related Research

References

[1] Lee, J., & Kim, J. (2018). Method of app selection for healthcare providers based on consumer needs. CIN: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36(1), 45-54.
[2] Lee, J., & Kim, J. (2019). Can menstrual health apps selected based on users’ needs change health-related factor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26(7), 655-666.
[3] Bol, N., Helberger, N., & Weert, J. C. (2018). Differences in mobile health app use: A source of new digital inequalities?. The Information Society, 34(3), 183-193.
[4] Plante, T. B., O’Kelly, A. C., Macfarlane, Z. T., Urrea, B., Appel, L. J., Miller III, E. R., ... & Martin, S. S. (2018). Trends in user ratings and reviews of a popular yet inaccurate blood pressure-measuring smartphone app.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25(8), 1074-1079.
[5] Torous, J. B., Chan, S. R., Gipson, S. Y. M. T., Kim, J. W., Nguyen, T. Q., Luo, J., & Wang, P. (2018). A hierarchical framework for evaluation and informed decision making regarding smartphone apps for clinical care. Psychiatric Services, 69(5), 498-500.



About us
me
WITH lab

Warm IT for Health Laboratory

안녕하세요 WITH lab입니다!
​저희 연구실은 IT기술을 기반으로 한 간호정보학을 연구합니다.

img

지도교수


이지산


saan2mari@gmail.com

img

연구원


은가을


qaeuleun9307@gmail.com

img

연구원


신승훈


xii416@naver.com

img

연구원


박상현


psh960108@gmail.com

Funding

이 연구는 교육부의 지원을 받는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기초과학연구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았습니다(NRF-2018R1C1B5030802).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NRF-2018R1C1B5030802).